
씨티백 (황선영) “명랑하고 밝고 분위기 메이커인, 멋있는 사람이죠.” 출연자 중 한 명인 십대 소년은 자신을 이렇게 소개한다. 쑥스러운 미소를 짓던 그는 소개를 이어 나간다. “배달만 하면서 살아요.” 출연자들은 차례로 오토바이를 타는 재미와 사고의 아찔한 순간을 이야기하고, 동시에 감독은 오래전 사고로 세상을 떠난 친구를 함께 기억한다. 황선영 감독의 〈씨티 백〉은 오토바이 배달일을 하는 청소년들과 함께 만든 영화다. 출연자들의 기억 속에는 위험한 행동도 있고 명백한 불법도 있다. 어쩌면 우리도 한 번쯤 그들을 길에서 보고 얼굴을 찌푸렸을지 모른다. 하지만 영화는 이들의 삶을 쉽게 판단하는 대신 우리가, 즉 어른들이 왜 저들의 사연을 귀기울여 듣지 않았는지, 왜 무관심으로 저들을 더 위험하게 했는지 ..

릴 전쟁: 샬랄 (카르니 만델) 감독이 말하듯, 아카이브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너무나 당연한 말 같지만 여기에 정치와 권력이 개입하면 당연한 명제는 논쟁의 대상이 된다. 〈릴 전쟁: 샬랄〉은 수천개의 필름릴을 보관한 이스라엘의 아카이브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이중에는 20세기 중반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일상이 담긴 자료가 있었고, 이스라엘 관계자들은 이 자료의 공개를 제한한다. 시민들의 일상을 기록한 단순한 영상도 그들에게는 불편했던 것이다. 〈릴 전쟁: 샬랄〉은 이 필름을 찾으려는 아키비스트의 노력을 보여주는 한편, 언뜻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은 단순한 영상의 존재 유무가 왜 그렇게 논쟁적인 문제가 됐는지 살펴본다. 나아가 영상 아카이브의 최초 생산 이후 이를 보존하고 다시 재생하는 작업이..

카트만두 몬순 (니마 겔루 셰르파) 처음은 가랑비로 시작한다. 사람들은 강아지와 놀고, 무지개는 하늘을 장식한다. 그러나 비가 점차 거세지기 시작하더니 거리는 곧 물에 잠긴다. 카트만두를 찾은 사람들은 엎드려 절을 할 수 없으며, 사람들은 흙탕물을 퍼내느라 바쁘다. 폭우가 바꾼 일상의 풍경이다. 〈카트만두 몬순〉은 어떤 나레이션이나 자막도 없이 카트만두의 비오는 풍경을 기록한다. 이 이미지만으로 어떤 특별한 메시지를 읽는 건 쉽지 않다. 대다수의 장면들은 잔잔하고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촬영됐으며, 비가 많이 내리는 것도 네팔 우기의 평범한 풍경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기후 변화로 가장 큰 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가 바로 네팔이라는 점을 떠올리면 이 ‘일상적인’ 모습은 점차 심각해질 어떤 위기..